프랑스 디저트의 역사와 프루스트의 감성 이야기
1. 마들렌의 기원 : "마들렌"이라는 소녀?
마들렌의 기원에 대해선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곳은 18세기 프랑스
로렌(Lorraine) 지방입니다.
당시 로렌 지방의 코미에 성(Château de Commercy)에서 열린 연회가 있었는데 디저트를 준비하던
셰프가 갑작스럽게 떠나게 되는 일이 벌어져 바제는 바람에 하녀가 급히 만든 과자가 바로 마들렌의
시초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마들렌’이었고, 익숙한 조개껍데기 모양의 틀에 반죽을 부어서 구웠다고 합니다.
이 과자를 맛본 귀족들은 감탄했고, 그들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마들렌’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
입니다.
2. 음악 속의 마들렌 : "프루스트 효과" 란 무엇인가?
마들렌 하면 프랑스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 (Marcel Proust)가 떠오릅니다. 그의 대표작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에서 주인공은 홍차에 적신 마들렌을 한 입 베어
물며 유년 시절의 기억을 떠올립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묘사를 넘어서, '무의식적인 기억 회상의 매개체'로 마들렌이 상징적으로 사용되며,
이후 "프루스트 효과" (Proust effect)라는 심리학 용어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맛이나 향이 특정한 기억을 불러일으킨다는 개념은, 마들렌을 단순한 과자가 아닌 감성적인 디저트로
만들었습니다.
3. 마들렌의 특징과 재료
마들렌은 버터, 설탕, 밀가루, 달걀, 베이킹파우더 등 기본적인 재료로 만들어지며, 꿀, 초코렡,
레몬 제스트, 녹차 등 다양한 재료를 첨가하여 만들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표면은 살짝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고 푹신한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입니다.
또한, 조개껍데기 모양의 틀에서 구워내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 마들렌 " 특유의 곡선과 중앙의
봉긋한 배(hump)가 잘 부풀수록 훌륭한 마들렌으로 평가됩니다. 마치 우리나라의 가리비 모양을 연상
한다면 완벽한 표현입니다. 완벽한 가리비 모양 이거든요.
4. 잘 구운 마들렌 어떻게 먹을까?
마들렌은 그 자체로도 훌륭한 간식이지만, 커피, 홍차, 우유와 곁들이면 더욱더 잘 어울립니다.
프랑스에서는 특히, 티타임이나 브런치 메뉴로 자주 등장하며, 최근엔 국내에서도 디저트 카페나 베이
카레에서 다양한 마들렌을 만날 수 있습니다.
선물용으로도 인기가 많아 예쁜 박스 속에 담긴 마들렌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디저트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5. 세계로 퍼진 마들렌의 인기
디저트의 나라 프랑스의 전통 제과였던 마들렌은 이제 전 세계적인 디저트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베이킹 클래스나 홈베이킹 레시피에서 빠지지 않는 인기 메뉴가 되었고, 다양한 스타일로
변형되어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초코렡을 입히거나, 피스타치오나 말차를 활용해 색다른 맛을 낸 마들렌도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
6. 마무리하며~
작고 앙증맞아 먹기에도 아까와 보이지만 오랜 역사와 감성을 품은 디저트 " 마들렌" 입안에 퍼지는
부드러운 식감과 은은한 향,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소중한 사람들의 이야기들은 우리가 왜 이 제과에
이끌리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제과 파티시에 기본 파트 스탠다드 중 가장 첫번째로 만든 "마들렌" 입니다. 처음이라 모양도 제각각이고
틀에 반죽이 꽉 채워지지 않아서 모양이 고르게 예쁘지 않고 투박하게 보이네요 후훗
마들렌 보는 순간 가리비 생각나지 않으세요?
하지만 맛은 한 입 베어 물면 부드러움이, 또 한 입 베어 물면 달콤함이 온통 입안에 퍼지며, 너무나도
행복해진답니다.
제가 만든 마들렌 어떠신가요?
따뜻한 차 한 잔과 함께 "마들렌" 한 조각으로 유럽의 작은 프랑스를 느껴보세요.
구독과 댓글은 사랑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킹클래스 - 마카롱은 알고 먹어야 제맛!! 역사부터 파헤쳐봅시다 . (0) | 2025.04.26 |
---|---|
최고의 날 - 드디어 구글 애드센스 승인 완료 후기 (0) | 2025.04.19 |
쿠킹클래스 바스크케이크 - 전통과 현대가 만났다. 디저트의 정수 (0) | 2025.04.17 |
쿠킹클래스에서 만든 레몬머랭 타르트,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이유!” (0) | 2025.04.15 |
파운드 케이크의 기원과 역사 - 나의 파운드케이크 만들기 클래스 (0) | 2025.03.15 |